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포렌식
- nodeJS
- 자료구조
- 웹개발
- 웹해킹기초
- 뷰
- gitbash
- mongoose
- 이진트리
- GIT
- 자바문제풀이
- 자바
- 워게임추천
- 써니나타스
- 워게임
- Express
- 그래프
- CTF
- wargame.kr
- 웹해킹
- 포렌식워게임
- NavBar
- bootstrap
- 웹기초
- node
- materialize
- MongoDB
- 자바기초
- 이진탐색트리
- node.js
- Today
- Total
보안 전공생의 공부
[Wargame.kr] #1 already got 본문

HTTP Resonse header 을 읽을 수 있냐는 질문이 있다.
일단 start를 눌러보면

이미 키를 갖고 있다구 한다.
HTTP Resonse header을 볼 수 있어야
해결할 수 있는 것 같다.
그런데 이 헤더를 한 번도 본 적이 없어서
그 방법을 구글링 해보았다.
크롬에서 request, response header 확인하기.
1. 크롬에서 개발자도구를 시작해서 (F12를 누르면 열림) 2. Network 탭으로 이동합니다. 3. F5또는 Ctrl+R을 통해서 페이지를 새로고침합니다. 4. 그러면 name에 페이지요청 목록이 나오는데 원하는 것
paulaner80.tistory.com
위의 글에서 알려준 것처럼
개발자 도구(F12) - Network로 이동했다!

이러한 화면을 볼 수 있었고,
새로고침하기 위해 Ctrl + R 을 눌렀다.

그러면 이렇게 already_got/이라는 문서하나가 뜨고,
이를 클릭해보면

Resonse Headers를 찾아볼 수 있고 FLAG 값을 확인할 수 있다.
FLAG값을 입력하면 쉽게 성공한다.

개발자도구에서 항상 Elements랑 Console 탭만 사용하였어서,
Network 탭은 처음 사용해보았다.
Network 탭은 HTTP통신과정을 들여다볼 수 있어
이 문제를 풀 때 http response header을 확인할 수 있었다.
이밖에도 브라우저-서버 간 통신과정에 발생하는 문제 확인,
클라이언트 성능 개선 지점 분석, 찾기 위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한다 :)
크롬 개발자도구 Network 사용법
크롬 개발자도구 Network 사용법 개발자도구의 네트워크탭에 진입하면 다양한 그림 그리고 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. 기본적인 설명을 작성해보았다. Network 탭의 장점 NetWork 탭을 통해
ktko.tistory.com
'Wargame > 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Wargame.kr] #3 QR CODE PUZZLE (0) | 2021.02.02 |
---|---|
[Wargame.kr] #2 flee button (0) | 2021.02.02 |
[XCZ.kr] #32 Easy Trick | PHP 비교 연산자 취약점 (0) | 2021.01.27 |
[SuNiNaTaS] #5 | 자바스크립트 난독화 (0) | 2021.01.26 |
[SuNiNaTaS] #6 (0) | 2021.01.20 |